Welcome to 이데아클럽

용어사전

전체 7건
Q
[마케팅용어] 퍼널 마케팅(Funnel Marketing)
A

퍼널 마케팅은 소비자의 구매 여정을 깔때기(funnel) 형태로 모델링하여, 각 단계별로 마케팅 전략을 달리 적용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전환율(Conversion Rate)을 높이고자 하는 마케팅 기법이다. 이 개념은 고객이 처음 브랜드를 인지하고 관심을 가지는 단계에서부터 최종 구매, 재구매, 충성고객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최적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퍼널의 구조

퍼널 마케팅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인지(Awareness)

타겟 고객이 브랜드 또는 제품을 처음 접하는 단계다. 이 단계에서는 광고, SNS 콘텐츠, PR, SEO 등을 활용해 브랜드 노출을 극대화한다.

관심(Interest)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는 단계로, 웹사이트 방문, 이메일 구독, 콘텐츠 다운로드 등의 활동이 포함된다.

고려(Consideration)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비교·검토하며 구매를 고려하는 시기다. 제품 설명, 데모, 후기, 웨비나, 상담 등이 주요 수단이다.

의사결정(Intent)

고객이 구매 의향을 가지게 되는 단계로, 프로모션, 할인, 체험판 등이 전환을 유도하는 데 사용된다.

구매(Purchase)

실제 구매가 이루어지는 단계다. 결제 UX/UI 최적화, 다양한 결제 수단 제공, 빠른 배송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충성도(Loyalty)

재구매 및 장기 고객화 단계로, 리텐션 마케팅, 리워드 프로그램, 고객 맞춤형 콘텐츠 제공 등을 통해 관계를 유지한다.

옹호(Advocacy)

충성 고객이 자발적으로 브랜드를 홍보하는 단계다. 리뷰 작성, 추천 시스템, 커뮤니티 참여 등이 이에 해당된다.

적용 사례

  • 이커머스: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해 제품 상세 페이지에 방문한 후, 장바구니에 담고 결제를 완료하며, 이후 할인쿠폰 제공을 통해 재구매를 유도하는 흐름이 전형적인 퍼널 마케팅 구조다.
  • SaaS 서비스: 블로그 콘텐츠로 유입된 사용자가 이메일 구독 후 무료 체험판을 사용하고, 이후 유료 플랜으로 전환하는 경로가 퍼널로 설계된다.

분석 및 최적화

퍼널 마케팅은 각 단계에서의 전환율을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고, 병목현상(Bottleneck)을 찾아내어 개선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위해 Google Analytics, CRM, 마케팅 자동화 툴(Marketo, HubSpot 등)을 활용한다. 퍼널별 KPI를 설정하여 성과를 측정하고 A/B 테스트를 통해 최적의 메시지, 콘텐츠, 채널을 도출한다.

장점

  • 구매 전환 과정의 체계적 관리 가능
  • 예산 효율성 제고
  • 고객 행동 분석을 통한 타겟 마케팅 강화
  • 고객 충성도 및 생애가치(LTV) 증대

단점

  • 단계가 세분화될수록 운영 복잡성 증가
  • 퍼널 외부 변수를 고려하지 않으면 현실 반영 어려움
  • 초기 데이터 확보 및 분석 역량 요구
2025-11-03 1
Q
[마케팅용어] O2O 서비스(Online to Offline Service)
A

O2O 서비스(Online to Offline Service)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와 오프라인 서비스를 연결해주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사용자는 온라인에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탐색하고 예약 또는 결제를 진행하며, 실제 소비나 이용은 오프라인에서 이뤄진다. 이는 디지털 채널을 통해 오프라인 수요를 창출하고, 기존의 오프라인 산업에 디지털 혁신을 접목시키는 방식이다.

O2O는 모바일 기술, 위치 기반 서비스, 결제 시스템의 발전과 함께 급속히 성장했으며, 유통, 외식, 뷰티, 생활 서비스, 부동산, 헬스케어, 모빌리티 등 다양한 산업에서 핵심 채널로 자리잡고 있다.

특징

  • 온라인 기반 고객 유입: 검색, 앱, SNS, 광고 등을 통해 유입
  • 오프라인 실체 소비: 방문, 수령, 직접 체험 등의 형태로 서비스 이용
  • 실시간 정보 제공: 재고, 위치, 시간대별 서비스 가능 여부 등 즉각적 피드백 제공
  • 편리한 예약 및 결제: 사전 결제, 시간 예약, 쿠폰 발급 등 온라인 기능 활용

대표 유형

  • 배달 서비스: 배달의민족, 요기요 등 음식 주문 플랫폼
  • 예약 플랫폼: 야놀자(숙박), 카카오헤어샵(미용), 리디핏(헬스케어)
  • 중개 서비스: 당근마켓(지역 기반 거래), 쿠팡이츠(배달), 쏘카(카셰어링)
  • 로컬 커머스: 네이버 스마트플레이스, 카카오맵 연계 비즈니스 등

적용 사례

  • 커머스: 쿠팡 로켓배송은 주문은 온라인, 수령은 오프라인 형태로 O2O의 대표적 응용
  • 뷰티: 예약 플랫폼을 통해 미용실, 네일숍 등 오프라인 서비스 예약
  • 의료: 병원 예약 앱을 통한 진료 예약, 처방전 수령
  • 자동차: 카카오T, 쏘카 등 차량 호출과 대여 서비스

장점

오프라인 사업자에게 디지털 채널 통한 신규 고객 확보 기회 제공

고객에게는 시간 절약, 실시간 정보, 다양한 선택지 제공

데이터 기반 소비자 분석 가능(방문 빈도, 위치 기반 선호도 등)

결제 및 고객관리 자동화로 효율성 제고

단점 및 유의점

오프라인 서비스 품질이 온라인 기대 수준에 못 미치면 브랜드 신뢰도 하락

플랫폼 수수료 문제, 가격 불투명성, 리뷰 조작 등 부작용 발생 가능

위치 기반 정보나 예약 정보의 실시간 동기화 문제 발생 소지

전략적 운영 방안

  • 온·오프 통합 브랜딩 강화: 오프라인 품질 관리 및 일관된 고객 경험 설계
  • 로컬 마케팅 강화: 지역 기반 키워드, 고객 리뷰, 지도 서비스 최적화
  • 데이터 기반 리텐션 전략: 방문 주기, 선호도 분석을 통한 맞춤 리마케팅
  • 가맹점 교육 및 운영관리: 플랫폼 품질 유지 위한 가맹 파트너 관리 체계화
2025-11-03 1
Q
[마케팅용어] CRM 광고(CRM Advertising)
A

CRM 광고(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Advertising)는 고객관계관리(CRM)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고객군에게 맞춤형 광고를 노출하는 마케팅 기법이다. 기업이 보유한 고객 정보(이메일, 전화번호, 구매이력, 방문기록 등)를 광고 플랫폼에 연동하여, 기존 고객 또는 유사 고객(Similar Audience)을 대상으로 정밀한 타게팅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디지털 광고 방식이다.

CRM 광고는 단순한 리타겟팅을 넘어, 고객 세그먼트별 맞춤 전략, 재구매 유도, 이탈 고객 복귀 캠페인 등 다양한 고객 lifecycle 단계에 맞춰 활용된다. 페이스북, 구글, 카카오, 네이버 등 주요 플랫폼에서 지원하며, 퍼포먼스 중심의 디지털 캠페인 운영에서 핵심 도구로 자리잡고 있다.

작동 방식

고객 데이터 수집 및 분류

CRM 시스템, ERP, 웹사이트 로그 등에서 고객 정보 확보

고객 세그먼트: 신규, 충성고객, 이탈고객, VIP 등 분류

데이터 연동

고객 데이터(전화번호, 이메일 등)를 암호화하여 광고 플랫폼에 업로드

매칭된 사용자에 한해 광고 노출 가능

타겟 광고 집행

고객 그룹에 맞는 광고 메시지, 이미지, 오퍼 제작

광고 결과에 따라 리마케팅 또는 후속 자동화 마케팅 연계

대표 기능

  • 맞춤 타겟(Custom Audience): CRM 데이터를 직접 업로드하여 해당 고객에게만 광고 노출
  • 유사 타겟(Lookalike Audience): 기존 고객과 유사한 행동 특성을 가진 신규 잠재고객에게 광고 확장
  • 조건 기반 타겟팅: 구매 빈도, 최근 접속일, 평균 장바구니 금액 등을 기반으로 정교한 세분화 가능

적용 사례

  • 이커머스 플랫폼: 생일을 앞둔 고객에게 맞춤 쿠폰 제공 광고 노출
  • 패션 브랜드: 지난 시즌 구매자에게 이번 시즌 신상품 광고 집행
  • 금융사/보험사: 기존 보험 가입자에게 리뉴얼 안내 광고 제공
  • O2O 서비스: 최근 30일 이탈 고객에게 리마인드 알림 광고 제공

장점

고정밀 타게팅으로 광고 낭비 최소화

고객별 니즈에 맞는 퍼스널라이즈드 광고 가능

리텐션 향상 및 장기 고객 관계 강화

광고 ROI 향상, 전환율(CVR) 상승

유의점

개인정보 보호 및 데이터 암호화·보안 처리 필수

데이터 업데이트 주기와 정확도 관리가 성패를 좌우

고객 대상 광고 노출에 대한 과도한 빈도는 브랜드 피로감을 초래할 수 있음

전략적 운영 포인트

  • 세그먼트 기준 정교화: 단순한 구매 여부가 아닌 행동 점수 기반 세분화
  • 마케팅 자동화 연계: CRM 광고를 이메일, SMS, 앱푸시 등과 통합 운영
  • 이탈 고객 리커버리: 장기 미이용자, 미구매자 재활성화를 위한 캠페인 설계
  • 고객 생애가치(LTV) 기반 운영: VIP 또는 고가 상품 구매 고객 대상 차별화된 광고 노출
2025-11-03 1
Q
[마케팅용어] 리타겟팅 광고(Retargeting Advertising)
A

리타겟팅 광고(Retargeting Advertising)는 웹사이트를 방문했거나 특정 행동을 취한 사용자를 추적하여, 그들에게 맞춤형 광고를 반복적으로 노출함으로써 전환(Conversion)을 유도하는 디지털 광고 기법이다. 사용자의 브라우징 이력, 장바구니 이탈, 검색 키워드 등을 기반으로 관심 상품이나 콘텐츠를 다시 보여주는 방식이다.

이는 한 번 방문한 고객을 잃지 않고 재유입시키는 전략으로, 디지털 마케팅에서 전환율(CTR, CVR) 향상에 가장 효과적인 방식 중 하나로 평가된다. 광고는 주로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소셜 미디어, 검색 광고 플랫폼 등을 통해 구현된다.

작동 원리

  • 추적 기술 적용: 사용자가 웹사이트 방문 시 쿠키(Cookie) 또는 픽셀(Pixel)을 통해 행동 데이터를 수집
  • 사용자 세그먼트 분류: 방문 페이지, 머문 시간, 장바구니 행동 등 기준으로 그룹화
  • 맞춤형 광고 생성: 관심 제품 이미지, 할인 코드, 다시 보기 유도 메시지 등으로 구성된 배너 또는 영상 제작
  • 광고 네트워크에 노출: Google Display Network, Facebook, Instagram 등에서 해당 사용자에게 재노출

유형

  • 사이트 리타겟팅(Site Retargeting): 웹사이트 방문 이력을 기반으로 광고 노출
  • 검색 리타겟팅(Search Retargeting): 사용자의 검색 키워드 기반으로 유사 관심사를 가진 유저 타겟팅
  • 이메일 리타겟팅(Email Retargeting): 이메일 오픈 및 클릭 여부를 기반으로 광고 리타겟팅
  • CRM 리타겟팅(CRM Retargeting): 기존 고객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광고를 맞춤 타게팅

적용 사례

  • 이커머스: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고 결제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해당 상품 광고를 노출, 구매 유도
  • 여행사: 특정 여행지 검색 이력을 기반으로 항공권, 숙박 할인 광고 노출
  • 교육 플랫폼: 강의 상세 페이지 방문자에게 수강 후기, 할인 쿠폰이 포함된 배너 광고 노출

장점

기존 관심 고객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전환율이 높음

광고 효율성 극대화 (낮은 CPA, 높은 ROI)

브랜드 반복 노출로 인지도 및 친밀감 증가

맞춤형 메시지 제공 가능

단점 및 유의점

과도한 노출로 인한 사용자 피로감(Ad Fatigue)

개인정보 보호 이슈 및 쿠키 정책 강화로 인한 타겟 정확도 저하 가능성

신규 고객 확보보다는 리텐션 중심 전략이라는 한계

전략적 운영 팁

  • 빈도 조절: 동일 광고의 노출 횟수 제한(Frequency Cap)
  • 타이밍 최적화: 사용자의 이탈 시점과 행동 이력을 분석하여 적절한 시점에 노출
  • 다양한 크리에이티브 구성: 반복 노출에 따른 피로도 해소를 위한 디자인과 메시지 다양화
  • 세분화된 타겟 전략: 신규 방문자, 재방문자, 장바구니 이탈자 등 그룹별 차별화된 전략 적용
2025-11-03 1
Q
[마케팅용어] 시장 성과(Market Performance)
A

시장 성과(Market Performance)는 기업이 시장 내에서 활동한 결과로 얻은 성과를 다양한 지표를 통해 평가하는 개념이다. 이는 제품이나 서비스가 시장에서 얼마나 성공적으로 수용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활용되며, 매출, 시장점유율, 고객 수, 브랜드 인지도, 경쟁사 대비 성장률 등 다양한 항목을 포함한다.

시장 성과는 마케팅, 영업, 제품 전략의 효과를 반영하며, 경영 전략 수립, 투자자 관계(IR), 신규 사업 기획 등 전사적인 의사결정의 핵심 지표로 기능한다.

주요 지표

시장 성과는 다음과 같은 정량적·정성적 지표를 통해 측정된다:

  • 매출(Market Revenue): 일정 기간 동안의 총 판매금액
  • 시장점유율(Market Share): 특정 시장 내에서 기업 제품의 점유 비율
  • 고객 점유율(Customer Share): 특정 고객군에서 자사 제품이 차지하는 비율
  • 판매 성장률(Sales Growth Rate): 전년 대비 매출 증가율
  • 브랜드 인지도 및 선호도: 브랜드가 시장에서 얼마나 인지되고 호감도가 높은지를 평가
  • 신규 고객 확보율 및 이탈률: 시장 내 고객 기반의 확대 혹은 감소율
  • 제품 카테고리 순위 또는 업계 포지셔닝: 경쟁 브랜드 대비 시장 내 위치

관련 활용 분야

1. 마케팅 성과 평가

캠페인, 프로모션, 채널 전략의 효과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됨.

2. 제품 전략 수립

시장 반응에 기반해 제품 개선, 가격 전략, 포지셔닝 전략을 도출함.

3. 경쟁 분석

경쟁사 대비 성과를 비교하여 자사 위치를 진단하고, 향후 경쟁전략 수립에 활용.

4. 투자 및 경영 지표로서의 역할

투자자들은 기업의 시장 성과를 통해 성장성과 수익성을 평가하며, 이는 주가와 기업가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줌.

사례

  • 테슬라(Tesla): 전기차 시장 내 시장점유율 확대 및 매출 증가를 통해 시장 성과를 입증, 시가총액 기준 자동차 산업 내 1위 등극
  • 넷플릭스(Netflix): 글로벌 OTT 시장에서 가입자 수와 시청 시간 기준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시장 성과 지표 전반에서 우수한 성과 기록
  • LG생활건강: 중국 및 아시아 시장 내 브랜드 ‘후’의 고급 이미지 강화로 프리미엄 화장품 시장에서 높은 시장점유율 달성

유의점

시장 성과는 외부 환경(경기변동, 규제 변화, 트렌드)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절대적인 수치보다는 변화 추이와 맥락 속에서 분석해야 한다. 또한 단기 실적보다는 장기적인 성장성과 고객 관계의 질적 측면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2025-11-03 1
Q
[마케팅용어] 퍼소나 마케팅(Persona Marketing)
A

퍼소나 마케팅(Persona Marketing)은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의 이상적인 고객상을 가상의 인물로 설정하고, 이 ‘퍼소나’를 기반으로 마케팅 전략을 설계·수행하는 방식이다. 이때 퍼소나는 단순한 인구통계적 데이터에 그치지 않고, 소비자의 심리, 행동 패턴, 가치관, 라이프스타일, 구매 동기 등까지 반영한 입체적인 캐릭터로 구축된다. 즉, 추상적인 ‘타깃 고객’ 개념보다 훨씬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마케팅 대상이다.

구성 요소

퍼소나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된다:

  • 이름, 나이, 성별, 직업, 소득 수준
  • 일상생활과 소비 습관
  • 정보 탐색 및 구매 경로
  • 관심사와 가치관
  • 현재 문제점과 니즈
  • 제품 또는 서비스에 기대하는 바

이러한 정보를 통해 마케팅 팀은 해당 퍼소나가 실제 존재하는 인물처럼 느껴질 수 있을 정도로 구체화된 시나리오를 작성한다.

적용 사례

1. 콘텐츠 마케팅

퍼소나가 자주 사용하는 SNS 채널이나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기획하여 맞춤형 정보를 제공한다.

2. 제품 개발 및 UX 디자인

고객 퍼소나의 니즈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UI/UX 설계, 기능 배치, 서비스 흐름 등을 최적화한다.

3. 이메일 마케팅 및 광고 타게팅

각 퍼소나 그룹에 맞는 메시지와 톤앤매너를 반영하여 이메일 또는 광고 메시지를 세분화하여 전달한다.

4. 고객 여정 매핑(Customer Journey Mapping)

퍼소나가 브랜드를 처음 인지하고 구매까지 이어지는 경로를 시나리오화하여 각 접점에서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한다.

장점

  • 고객 중심의 전략 수립 가능
  • 마케팅 메시지의 일관성과 명확성 확보
  • 타겟 세분화로 자원 효율성 증가
  • 제품 및 서비스 개선에 실질적 인사이트 제공

단점 및 유의점

퍼소나 설정이 현실과 동떨어지거나 과도하게 이상화되면 오히려 마케팅 전략이 왜곡될 수 있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검증과 수정이 필요하며, 다양한 퍼소나가 혼재된 시장에서는 균형 잡힌 대응이 요구된다.

대표 예시

  • B2C 기업: 한 뷰티 브랜드는 20대 초반의 ‘셀카를 자주 찍는 대학생 여성’이라는 퍼소나를 설정하고, SNS 바이럴 캠페인과 미니 팩 화장품을 제작해 큰 성과를 얻었다.
  • B2B 기업: IT 솔루션 기업은 중소기업의 ‘IT 매니저’ 퍼소나를 구축하고, 그들이 자주 방문하는 포럼과 기술 블로그에 정보를 배포해 리드를 확보했다.
2025-10-30 1
Q
[마케팅용어] 퍼포먼스 마케팅 (Performance Marketing)
A

퍼포먼스 마케팅은 마케팅 활동의 성과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성과에 따라 광고비를 지불하는 방식의 디지털 마케팅 전략이다. 전통적인 브랜딩 중심의 광고와 달리, 클릭 수(CPC), 전환율(CVR), 노출 수(CPM), 리드(Leads), 실제 구매(Conversion) 등의 구체적인 행동 기반 지표를 중심으로 성과를 평가하고 최적화한다.

주요 목적은 투자 대비 수익률(ROI, Return on Investment) 극대화이며, 광고주의 비용 지출이 실질적인 결과로 연결되도록 유도한다. 광고 성과에 따라 광고비가 지불되는 구조이므로, 광고주 입장에서는 위험을 줄이면서도 높은 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광고 매체 또한 퍼포먼스 지표를 기반으로 수익을 얻는다.

주요 채널 및 기법

  • 검색엔진 마케팅(SEM): 사용자의 검색 키워드에 따라 광고를 노출하여 높은 전환 가능성을 유도.
  • 소셜 미디어 광고: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틱톡 등의 타겟 기반 광고.
  • 디스플레이 광고: 배너형 광고로, 리타겟팅(재방문 유도) 전략과 결합 시 효과적.
  • 어필리에이트 마케팅(Affiliate Marketing): 제휴 파트너가 유입이나 구매 발생 시 수익을 배분.
  • 리타겟팅 광고: 이전 방문자를 대상으로 다시 광고를 노출하여 재전환을 유도.

성과 측정 도구

Google Ads, Meta Ads Manager, Google Analytics, Adjust, AppsFlyer, Tableau 등 다양한 분석 도구를 활용해 퍼널 분석, A/B 테스트, ROI 분석 등을 수행한다.

적용 사례

  • 이커머스: 제품별 전환율 데이터를 기반으로 광고 캠페인을 실시간 조정해 판매 극대화.
  • 앱 마케팅: 설치당 비용(CPI), 앱 내 구매(ROAS) 등을 기준으로 광고 채널 최적화.
  • B2B SaaS: 리드 생성 비용(CPL)과 전환률을 분석해 효율적인 리드 유입 채널 확보.

퍼포먼스 마케팅은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통해 마케팅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전략으로, 디지털 마케팅 전환 시대의 핵심 접근 방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2025-10-3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