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엔진 마케팅(SEM)은 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Search Engine Results Page, SERP)에서 웹사이트의 가시성을 높이기 위한 유료 광고 기반의 마케팅 전략을 의미한다. 보통 유료 클릭 광고(PPC, Pay-Per-Click) 방식이 중심이며, 대표적인 플랫폼으로는 Google Ads, Microsoft Ads(Bing), Naver Search Ads 등이 있다.

SEM은 SEO(검색 엔진 최적화)와 혼용되기도 하지만, SEM은 유료 전략SEO는 비유료(organic) 전략이라는 점에서 구분된다. 둘을 통합적으로 운용하는 것이 검색 마케팅의 핵심이다.

주요 구성 요소

키워드 기반 광고

  • 광고주는 검색 키워드를 지정하고, 이에 대해 입찰을 설정
  • 사용자가 해당 키워드를 검색하면, 경매 기반 알고리즘에 따라 광고가 노출됨
  • 일반적으로 상단, 하단 또는 쇼핑 탭 등 SERP 내에서 다양한 위치에 노출

광고 형식

  • 텍스트 광고: 기본적인 제목, 설명, 링크 구성
  • 쇼핑 광고: 이미지, 가격, 상점 정보 포함 (Google Shopping, Naver 스마트스토어)
  • 동적 검색 광고(DSA): 콘텐츠 기반으로 자동 생성되는 광고
  • 리마케팅 광고: 이전에 웹사이트를 방문했던 사용자에게 다시 광고를 노출

지불 방식

  • PPC(클릭당 비용): 광고가 클릭될 때만 비용 발생
  • CPM(노출당 비용): 1,000회 노출 기준 비용 발생
  • CPA(전환당 비용): 실제 구매, 가입 등 목표 행동이 발생했을 때만 과금

SEM의 장점

  • 즉각적인 노출 및 트래픽 유입 가능
  • 정밀한 타겟팅: 위치, 시간대, 디바이스, 인구통계 기반 설정 가능
  • 성과 측정이 용이: 클릭률(CTR), 전환율(CVR), ROAS 등 데이터 분석 가능
  • A/B 테스트와 예산 조정이 유연

SEM 전략 수립 시 고려 요소

  • 키워드 리서치: 구매의도 키워드와 정보성 키워드 구분
  • 경쟁 분석: 경쟁 광고주 입찰 수준, 광고 메시지
  • 랜딩페이지 최적화: 클릭 이후 전환으로 이어질 UX 설계
  • 품질 점수(Quality Score): 광고의 관련성, CTR, 랜딩페이지 품질이 종합적으로 반영되어 광고 노출순위 결정에 영향

주요 플랫폼

  • Google Ads: 글로벌 표준 플랫폼, 검색·디스플레이·유튜브 광고 포함
  • Naver 검색광고: 국내 검색 시장에 최적화된 키워드 광고 및 쇼핑검색
  • Microsoft Ads: Bing 기반의 검색 광고, 일부 국가에서 효과적
  • Daum 카카오비즈보드: 포털 및 모바일 카카오 플랫폼과 연동된 타겟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