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은 보존의 대상일까요, 아니면 새롭게 살아 움직이는 이야기일까요?
광주요는 이 질문에 명확한 해답을 제시한 브랜드입니다. ‘도자기’라는 익숙하면서도 낡은 키워드를 감각적인 라이프스타일로 승화시킨 광주요는, 전통 브랜드의 현대화를 고민하는 수많은 기업에게 상징적인 존재가 되었습니다.
흙과 불, 그리고 시간의 브랜드
광주요의 뿌리는 깊습니다. 고려청자의 고향이라 불리는 전라남도 강진에서 태어나, 수천 년 한국 도자의 맥을 잇는 작업을 꾸준히 이어온 브랜드입니다.
하지만 과거 광주요의 모습은 장인의 고집이 강하게 느껴지는, 쉽게 다가가기 어려운 도자기 브랜드였습니다. 품질은 뛰어났지만 대중성과는 거리가 있었고, 시대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하면서 점차 한정된 시장 안에 머물게 되었습니다.
그러던 광주요가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전통을 새롭게 이야기한다’는 태도 하나로, 브랜드는 세련되고 따뜻한 이미지로 탈바꿈했습니다. 도자기 자체를 변화시킨 것이 아니라, 도자기를 바라보는 ‘시선’을 변화시킨 것입니다.

식탁 위의 미학 – 도자의 일상화
광주요가 택한 변화의 방향은 놀랍도록 명확했습니다. “도자는 갤러리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식탁 위에 있어야 한다.”
그 말은 곧, 제품을 ‘감상’이 아닌 ‘생활’의 영역으로 끌어들인다는 의미였습니다. 그리하여 광주요는 도자를 단순한 식기 이상의 감성으로 풀어내기 시작했습니다.
디자인은 단아하고 절제된 한국적 미감을 바탕으로, 현대인의 주방과도 어울릴 수 있도록 정제되었습니다. 매끄러운 곡선, 질감이 살아있는 흙의 표면, 계절의 색감을 닮은 유약. 이 모든 요소들이 광주요를 특별하게 만들었습니다.
결과적으로, ‘광주요 그릇 하나로도 밥상이 달라진다’는 소비자의 자발적 인식이 생겨났고, 도자기를 고르는 기준이 ‘예쁘고 쓰기 편한 것’에서 ‘감성을 담은 물건’으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브랜드를 감각적으로 경험하게 하다
광주요는 판매보다 브랜드 경험에 집중했습니다. 서울 한남동, 삼청동, 부산 해운대 등에 위치한 플래그십 스토어는 단순한 매장이 아니라 하나의 공간 미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곳에 들어선 순간, 제품은 더 이상 진열된 물건이 아니라, 하나의 ‘공간에 살아있는 존재’가 됩니다. 그릇 하나를 고르는 행위조차 특별한 경험이 되도록 연출한 것이지요.
이와 더불어 광주요는 레스토랑과 와이너리까지 확장하며 브랜드 스토리를 더욱 풍성하게 엮고 있습니다. 음식을 담는 그릇에서, 음식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제품과 철학, 경험이 하나의 흐름으로 연결된 이 방식은 고급 소비자층에게 강한 브랜드 신뢰를 형성하게 했습니다.
전통을 버리지 않고, 시대와 호흡하다
광주요는 ‘전통’이라는 무게감을 ‘우아한 자신감’으로 바꾸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 방법은 단순했습니다. 전통을 유지하되, 이를 현대적으로 말하고 보여주며, 사람들이 일상에서 경험하게 만드는 것.
이 전략은 전통의 정체성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현대 소비자와 감각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가교가 되어주었습니다. 광주요는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라는 오래된 명제를, 가장 세련된 방식으로 증명한 브랜드입니다.
브랜드는 태도입니다
광주요가 보여준 리브랜딩은 디자인만의 변화가 아닙니다. 그 핵심은 전통에 대한 ‘태도’에 있습니다.
과거의 유산을 마치 유물처럼 보존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의 언어로 ‘지금’의 삶 속에 스며들게 하는 것. 그 태도가 브랜드의 가치가 되고, 문화가 되고, 결국 소비자의 삶 한가운데에 자리잡게 됩니다.
광주요는 단지 도자기를 잘 만든 것이 아니라, 시간의 가치를 살아 있는 감성으로 빚어낸 브랜드입니다.
